인터넷을 보면 생산성 향상을 위해
그래서 오늘은 ChatGPT 윈도우 어플리케이션 출시 기념으로 설치하는 포스팅을 쓰고자 한다.
Step.1 Microsoft Store에서 다운받기
구글에 ChatGPT 윈도우로 검색하면 다음의 Microsoft Store가 상단에 위치한다 : Link (클릭!)
해당 링크에서 제작자가 OpenAI인지 잘 확인하고, 다운로드를 누른다.
Step.2 다운된 EXE 파일을 눌러 설치하기
그러면 ChatGPT installer exe 파일이 다운되는데, 해당 설치파일을 눌러서 설치를 수행하면된다.
왜 인지 모르게... 나는 한참 걸렸다.. 보통 설치는 뚝딱되지 않나..? 라고 의문을 가질때즈음 다운로드가 수행된다.
참을성 있게 기다리면 (대충 1분) 다운이 잘 되는 걸 확인할 수 있다.
Step 3. 로그인하기
그럼 로그인창이 뜨면서 바로 로그인하면 되는데, OpenAI 사이트로 연결되면서 해당 사이트 내에서 로그인할 수 있도록 한다. 시키는 대로 로그인을 하면 페이지 상단에 설치한 프로그램에 리디렉션 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뜬다:
그럼 '열기' 눌러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.
프로그램이 영롱하게 켜진다. 작업표시줄에 OpenAI 마크를 보니 매우 든든하다.
이제 인터넷 페이지 켜지 않고도 바로바로 같이 업무를 볼 생각하니 마음이 따뜻해진다...
고마워요 OpenAI...!
글을 나가며
많은 사람들이 생성형 AI에 관심을 가지면서 다들 어떤 사이트나 프로그램을 쓰는게 적합한지 궁금해한다.
개인적으로는 ChatGPT 유료버전(현재 22달러)를 적극 추천한다.
한국어에 특화된 뤼튼이나 글 잘 써주고 워크스페이스 제공해주는 클로드... 수 많은 사이트들이 있지만 결국 OpenAI가 각잡고 만들면 금방 따라잡히기 때문에 깔끔하게 ChatGPT 유료버전 쓰는게 낫다고 본다. (개인적인 생각)
특히 연구자 입장에서는 클로드... 말은 번지르르하게 잘 하는데 뭐랄까.. 연구적으로 말하는건.. GPT가 더 내 스타일이다.
현재 유료버전 구독하고 있는데, 당분간은 계속 유지할 생각이다.
그리고 누군가 생성형 AI 뭐 구독해야하냐고 묻는다면 주저없이 ChatGPT만 하나 해두고 존버하라고 말할 것 같다.
오늘은 간단하게 오블완!
'대학원생활 @ KAI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대학원생을 위한 데일리 논문 추천 메일: Scholar Inbox (2) | 2024.11.19 |
---|---|
뉴스 이미지가 저품질化 되고 있다. (4) | 2024.11.18 |
박사 과정의 평판 관리와 레퍼런스 체크 (2) | 2024.11.14 |
박사과정의 기분 환기 (2) | 2024.11.13 |
박사 과정이 외국인 학생과 협업 하는 방법 (4) | 2024.11.12 |